연습공간 입니다.깃허브 페이지를 통한 블로그 생성 첫걸음 (Minimal Mistakes theme 기반)
0. 시작전…
개인적으로 블로그를 하나 운영하고 싶어서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카카오 페이지 등등 유명 플랫폼들을 살펴봤는데, 티스토리는 초대장 받기가 힘드네요. 가능하면 마크다운 (Markdown) 기반으로 수식도 추가해가면서 깔끔하게 포스팅 하고싶었는데, 카카오 같은 경우는 마크다운 방식으로 돌아가긴 하지만 수식 넣는것도 힘든 것 같고 작가 등록이 필요합니다.
대체할만한 것을 찾기위해 웹서핑을 해본 결과, 깃허브(GitHub)와 지킬 (Jekyll)을 활용해서 쉽게 블로그 생성이 가능하다는 소식을 듣고 블로그를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쉽게 만들지는 못했던 것 같아서, 블로그 생성 및 구성 과정에 대해 쉬운 것부터 하나하나 포스팅 해 가려고 합니다.
1. 마크다운이란
마크다운은 문서 양식을 편집하는 문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글쓸때 한글처럼 블록 지정해서 글자 크기, 글자 색, 문단 등을 설정하는게 아니라, 정해진 코드와 함께 글을 쓰면 그에 해당하는 양식으로 자동적으로 변환됩니다. 그래서 문서 양식 설정하는데 크게 집중하지 않아도 깔끔하게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간단한 마크다운 문법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법 예시 | 실행 결과 |
---|---|
# 제목 | #제목 |
* 기울기 * | 기울기 |
** 강조 ** | 강조 |
` 코드 작성 ` | 코드 작성 |
2. 마크다운이란2
마크다운은 문서 양식을 편집하는 문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글쓸때 한글처럼 블록 지정해서 글자 크기, 글자 색, 문단 등을 설정하는게 아니라, 정해진 코드와 함께 글을 쓰면 그에 해당하는 양식으로 자동적으로 변환됩니다. 그래서 문서 양식 설정하는데 크게 집중하지 않아도 깔끔하게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간단한 마크다운 문법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3. 마크다운이란3
마크다운은 문서 양식을 편집하는 문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글쓸때 한글처럼 블록 지정해서 글자 크기, 글자 색, 문단 등을 설정하는게 아니라, 정해진 코드와 함께 글을 쓰면 그에 해당하는 양식으로 자동적으로 변환됩니다. 그래서 문서 양식 설정하는데 크게 집중하지 않아도 깔끔하게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간단한 마크다운 문법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